영상에 소개한 재료 외에 보충 내용:
* Zircopax(Ultrox) 도 지르코늄 Zirconium 이다.
* Silicon Carbide (SiC) 실리콘 카바이드는 국내 도재상에서 취급을 안하고 있다고 생각했으나 대원도재에서 판매중이다. 만약 단종되면 국내에서 소량으로 구하기 어렵고 소량은 해외 직구를 해야할 듯하다.
* G-200 Feldspar 는 G-200 장석. 칼륨 장석이다. 나트륨 대신 칼륨을 늘리려면 G-200이 좋은 대안이지만 부여장석이 워낙 저렴해서 상대적으로 비용이 올라간다.
* F-4 Feldspar (KONA F4)는 단종으로 민스파 (Minspar 200)로 대체할 수 있다.
* Vanadium은 바나듐으로 찾아보시면 대원도재에서는 현재 품절 상태로 다시 들어올지 모르겠네요.
* Light Rutile 은 다크 루틸을 구운 것으로 보다 농축된 상태이다. 즉 같은 무게일 때 Light Rutile에 더 많은 티타늄이 들어 있다.
* Ulexite 울렉사이트는, 같지는 않지만 저슬리보레이트로 대체. (저슬리보레이트에는 부분적으로 울렉사이트로 구성됨. Colemanite와도 유사함)
* Colemanite 콜마나이트도 대원도재에서는 저슬리보레이트와 같은 것으로 취급 (저슬리보레이트에는 많은 콜마나이트를 함유)
* 산화 알루미나는 유약에 넣으면 녹지 않고 유약 재료로도 추천하지 않는다. 내화판 수리용 등으로 사용.
Vanadium 바나듐 독성이 매우 강하고
https://digitalfire.com/hazard/vanadium+and+compounds+toxicology
몰리브덴 구하기 힘듬.
실리콘 카바이드
Silicon Carbide (SiC) 착색제는 아님. 라바 글레이즈는 100-200 메쉬 이하 사용, fake reduction(glazy.org에 Faux Celadon으로 검색)용은 600 메쉬 이하 사용. 미국에서 구매대행시 lapidary supply store(보석 가공용품점)에서 구입하면 메쉬크기별로 판매한다. 미국 도재상에서도 정확한 메쉬로 구분 못하기도 한다.
Cryolite 빙정석 – 소성시 유해하다고 하는데 확인 필요. 확인하기 전에는 초보라면 사용을 피하자.
Fluorspar 형석 – aka fluorite. 소성 과정에서 불소 fluorine 가스를 방출하고 작업자와 가마(내부 부식)에도 유해하다고 한다. 환기와 위험성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지 않다면 일단 사용 배제할 것. 플럭스나 유탁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유약에 가치가 있는 재료이지만 안전성, 유약 내구성 등에서 문제가 있다. 플럭스로서 플럭싱 파워는 높은 편이지만 플럭스로 작용하는 온도 범위는 좁아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여러 이유로 유약에서 사용하더라도 2% 아래로 첨가하는 것을 추천. 즉 보조 역할. 개인 공방 보다는 공장에서나 사용하는 듯하다. 독특한 효과를 만들 수도 있고 강력하고 까다로운 재료로 잠재력이 있는 재료이지만 독성, 결함 등으로 소규모 개인은 거리감이 있는 재료이다.
calcium fluoride, CaF₂